애니팡, 드레곤플라이트의 성공신화를 기반으로 모든 게임들이 모바일로 넘어가고 있는 가운데, 2013년에는 모바일 게임의 전성기가 될 전망이다.
올해 하반기부터 모바일게임은 이미 온라인게임을 압도하기 시작했다. 애니팡이나 드래곤플라이트 같은 게임은 온라인게임을 즐기는 이용자보다 훨씬 많은 수의 이용자를 확보했다. 게임마니아층을 넘어서 일반 스마트폰 사용자들을 대거 마니아층으로 끌어들여, 새로운 틈새시장으로서도 매력적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여기에 매출 역시 왠만한 인기 온라인게임 정도는 가볍게 제치면서 모바일게임 시대를 예고했다.
처음 모바일게임에서 빛을 보았던 모바일게임 전문 개발업체를 비롯하여, 기존 대형 온라인 게임업체들의 모바일 게임시장 진출과 주도권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엔씨소프트 김택진 대표는 2013년을 "엔씨 모바일게임의 원년"이라고 선포했다. 넥슨 창업자인 엔엑스씨 김정주 대표도 "카카오톡을 통한 모바일게임의 성공을 유심히 지켜보고 있다"고 강조했다.
네오위즈게임즈, NHN 한게임 등 소위 메이저 게임회사들도 모바일게임 사업에 힘을 주고 있고 위메이드는 요즘 모바일게임 회사라는 말이 더 어울릴 정도로 모바일게임을 연달아 출시, 성과를 내고 있다. 넷마블도 이미 수십종의 모바일게임을 출시, 다양한 장르의 모바일게임 라인업을 갖추고 있다.
컴투스와 게임빌 등 기존 모바일게임의 강자들도 투자를 더욱 확대하면서 온라인게임사들과의 경쟁을 준비하고 있다. 이미 피처폰 시절부터 모바일게임에만 주력해온 두 회사는 모두 내년에만 약 40~50종 가량의 신작게임들을 쏟아낼 예정이다.
중견게임업체들도 모바일게임 시장에서 앞서가기 위한 공격적인 행보를 시작했다.
라이브플렉스는 무려 100종의 모바일게임을 출시하겠다고 선언하면서 많은 업계 관계자들의 주목을 받았다. 액토즈소프트도 모회사인 중국 샨다의 모바일게임 사업을 총괄한다고 선포했고 스퀘어에닉스와 제휴를 통해 다양한 모바일게임을 선보이겠다는 각오다.
엠게임, 와이디온라인, 한빛소프트 등이 이미 모바일게임 사업부를 신설하고 모바일게임 사업을 시작했다.
올해 혜성처럼 등장한 모바일게임업계 '신성'들도 2013년을 준비하고 있다.
애니팡을 히트시킨 선데이토즈는 직원을 대폭 늘리면서 게임 수를 늘려갈 채비를 마쳤다. 선데이토즈는 '애니' 시리즈 게임을 개발중이며 이 게임은 빠르면 내년 1분기 중으로 출시될 예정이다. 아이러브커피를 흥행시킨 파티스튜디오도 아이러브비트라는 음악게임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이씨엔 오승모 기자 oseam@icnweb.co.kr
'성남벤처넷 지식포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콘진, 콘텐츠제공서비스 품질인증 우수사이트 발굴 [ICNweb] (0) | 2012.12.27 |
---|---|
글로벌IT기업, 모바일광고 없앤다 [ICNweb] (0) | 2012.12.24 |
온라인 축구게임, 피파3와 위닝일레븐 격돌 [ICNweb] (0) | 2012.12.24 |
국내 웹게임, 시장 안착 못하고 고전한다 [아이씨엔] (0) | 2012.12.23 |
[기획] 콘텐츠산업 매출 1백조 시대, 준비는 됐는가! [아이씨엔] (0) | 2012.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