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씨엔 뉴스 (823) 썸네일형 리스트형 이미지 기반 바코드 리더기가 물류 자동화 라인을 혁신시키다 코그넥스, 이미지 기반 바코드 리더기인 DataMan 500 이미지 기반의 바코드 리더기가 물류 자동화라인을 새롭게 혁신시키고 있다. 코그넥스(www.cognex.com)는 혁신적인 이미지 기반 바코드 리더기인 DataMan® 500을 새로 출시했다고 밝혔다. DataMan 500은 현재 물류와 우편 배송, 소매 유통 시장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레이저 스캐너 보다 높은 판독률과 신뢰성을 보인다. DataMan 500은 탁월한 성능을 제공하는 Cognex IDMax® 코드 판독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고 있어서 손상됐거나 흐릿한 코드, 높이가 낮거나 대비가 낮은 코드 등 레이저 리더기가 읽지 못하는 모든 일차원 바코드를 판독할 수 있다. DataMan 500은 1초 당 최대 1,000 프레임을 처리하고 Data.. 한국지멘스, 이사급 인사 단행 한국 지멘스(www.siemens.co.kr)가 3일 상무 및 이사급 인사 20명을 포함해 250명의 2011년도 새해 인사를 단행했다. 상무 및 이사급 승진자는 다음과 같다. ▲송변전 및 배전설비사업부 부사장 정하중 ▲준법 감시부 전무 플로리안 스튜어발트(Florian Stuerwald) ▲메디컬솔루션사업부 전무 요하임 스티그리쯔(Joachim Stieglitz) ▲재경부 전무 이이오 ▲발전사업부 전무 이차남 ▲에너지 부문 상무 이광수 ▲경영정보부 상무 임홍빈 ▲자동화사업부 상무 송창현 ▲플랜트사업부 상무 이태우 ▲구매물류관리부 상무 김상근 ▲부산지사 이사 채철 ▲철도사업부 이사 박영오 ▲송변전 및 배전설비사업부 이사 황정태 ▲빌딩자동화사업부 이사 박세화 ▲메디컬솔루션사업부 이사 조영란 ▲재경부 이사 .. 올해의 보안 뉴스 TOP = 스턱스넥(#Stuxnet) 점차 지능화되는 사이버 웜에 대한 공동대처 요구돼 올해의 보안관련 최대의 뉴스는 스턱스넷(Stuxnet)으로 나타났다. 보안관련 뉴스에서 산업설비 관련 분야가 TOP10에 들기도 어렵거니와, 최대의 뉴스로 선정되기는 이례적이다. 그만큼 스텍스넷에 대한 충격과 파장이 큰 것이라 평가할 수 있다. 보안 컨텐츠 관리 솔루션 전문업체인 카스퍼스키 랩(www.kaspersky.co.kr)은 최근 올 한 해 동안 조사한 보안 위협을 종합 분석하여 ‘2010년 보안 위협 결산 및 2011년 전망’을 발표했다. 2010년에 발생한 보안 위협은 그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2009년과 유사한 양상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스턱스넷이 주목받았다. 또한 스턱스넷 웜과 같은 새로운 공격 기법의 등장과 스마트폰 용 바이러스가 .. 전문기술장비 유지보수, 이제 RFID로 해결하세요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유지보수 간소화 및 시간을 단축해주는 고밀도 RFID 메모리 출시 의료기기, 산업장비, 자동차 컨트롤러, 항공전자 모듈 등의 전문기술장비를 유지보수하는 작업도 많은 전문성과 비용, 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업무를 방대한 네트워크 데이터를 통해 해결할 수 있는 RFID 솔루션이 출시되었다.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www.st.com)는 혁신적인 RFID 디바이스를 출시하고, OEM과 장비 업체들이 유지보수 시간을 줄이고 관리 기록을 간소화할 수 있도록 전체 유지보수 이력과 같은 상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기술 장비의 “talk back” 기능을 지원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LRiS64K라고 하는 이 새로운 칩은 무선 태깅 (RFID) 회로와, 초기 제조업체 정보 및 전체 수리 또는 업.. 현대중공업, 그린에너지사업본부 신설 태양광, 풍력 부문 전기전자시스템사업본부서 분리 현대중공업은 미래 신성장 동력으로 중점 추진하고 있는 태양광, 풍력사업을 전기전자시스템사업본부로부터 분리, 2011년부터 ‘그린에너지사업본부’를 신설해 전담한다. 이번 그린에너지사업본부 신설은 향후 세계적으로 급성장이 예상되는 신재생에너지 시장에 전략적으로 대비하고, 관련 사업을 더욱 전문적으로 수행할 필요성에서 비롯됐다. UN환경계획(UNEP) 등에 따르면 풍력,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분야는 2009년 1천620억 달러 규모에서 2020년에는 1조 달러까지 성장해 자동차 산업에 근접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정부에서도 2015년까지 기업들과 함께 총 40조원을 투자, 세계 5대 신재생에너지 강국 도약을 선언한 바 있다. 급성장 신재생에너지 시장 대비 .. IT네트워크 장비 국산과 외산 차별 없앤다 지식경제부, 외산장비 유지보수비용 높게책정 --> 동일하게 변경 지식경제부(장관 최경환)는 제안요청서 발주규격심의 의무화, 평가위원 추천 등을 주요 골자로 하는「지식경제부 IT 네트워크장비구축운영 지침」을 제정하고, 관보 및 홈페이지 게재를 통해 12월 24일부터 시행에 들어갔다. 특히 현재 제안요청서상 특정업체에 유리한 규격 명시, 평가위원의 전문성 부족으로 부적합한 장비 구매, 저가입찰 만연 등 장비구매 전과정에서 불합리한 제도 및 관행이 만연하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실제로 지난 2006년부터 2008년까지 공공기관 장비구매 제안요청서(RFP) 211건을 분석한 결과에서 특정회사명을 언급하는 등 약 20%내외가 특정업체에 유리한 내용을 포함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특정 회사에 유리한 스.. 미스트라 솔루션즈, TI 시타라 ARM 마이컴 개발보드 발표 TI의 AM35x 시타라 ARM 마이크로프로세서 설계단순화 미스트랄 솔루션즈 (Mistral Solutions)는 저가의 ARM® 기반 개발 보드인 크레인보드(CraneBoard)를 23일 발표했다. 이를 통해 설계자들이 개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완벽한 오픈 소스 PCB(Printed Circuit Board) 및 설계를 제공한다. 크레인보드는 TI의 AM35x 시타라™ ARM® 코어텍스 ™-A8 마이크로프로세서(MPU) 평가 모듈(EVM)에 대해 비용 효과적인 다양한 개발 옵션을 제공한다. 이것은 또한 인기 있는 오픈 소스 비글보드 커뮤니티의 지원과 리소스를 활용한다. 크레인보드는 현재 미스트랄과 다양한 대리점을 통해 199달러에 제공되고 있다. 크레인보드는 TI의 AM35x 시타라 ARM 코어텍.. 중국 풍력산업, 무엇이 진실인가? 세계 3대 시장으로 부상한 중국 풍력산업 중국은 ‘신재생에너지 산업발전계획(The new Renewable Energy Law)’에 따르면, 2011~2020년 동안 풍력발전에 1조 5천억 위안이 투입되어 30GW의 풍력발전 설비가 들어설 예정이다. (이미지: www.chinawindpowerinternational.com) 2020년까지 풍력설비용량은 1.5억kw이며, 이를 위해 매년 1000만kw 용량을 새로 건설해야 할 판이다. 2010년 상반기 풍력장비 투자액은 285억 위안이며, 330만kw의 생산능력이 증가하여 전년대비 각각 48%, 66% 증가했다. 그러나 풍력업체 대부분이 중앙이나 지방 국유기업들이며, 민영기업이나 외자기업의 수는 미비하다. 이러한 급성장중인 중국의 풍력시장은 결국 중국 정.. 이전 1 ··· 86 87 88 89 90 91 92 ··· 103 다음